보건의료 R&D에 2조 2097억 원 투입…난임 치료기술 등 개발

전년대비 3.7% 증가…바이오특별위원회 제16회 회의 개최

정부가 올해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R&D)에 전년 대비 3.7% 증가한 2조 2097억 원(주요 R&D 기준)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에 마약·자살 등 정신건강 문제와 노인·장애인 대상 복지 기술, 저출산 극복을 위한 난임 치료기술 등 공익적 의료·돌봄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문제 해결형 R&D에 대해 적극적으로 투자한다.


또한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에는 지난해보다 10.7% 증가한 2025억 원, 감염병 대응 기술개발은 2667억 원을 투자해 AI 기반의 감시·예측 플랫폼 및 진단 플랫폼 개발 등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국가 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컨트롤타워로서 범부처 바이오 연구개발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바이오특별위원회 제16회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3차 국가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 2024년도 시행계획(안)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2024년도 시행계획(안)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2024년도 시행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 제3차 국가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 2024년도 시행계획(안)


이번 시행계획은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라 2020년 수립한 기본계획의 지난해 추진 실적과 올해 시행계획을 담고 있다.


우선 지난해 시행계획을 위해 11개 부처·청이 소재 분야 1529억 원, 데이터 분야 301억 원 등 1830억 원을 투자했다.


주요 성과로는 생명연구자원법을 개정해 생명연구데이터의 정의를 신설하는 등 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과 관련된 법·제도를 정비했다.


또한 기존에 구축되어 있던 미생물, 천연물, 배양세포 등 바이오 소재 관련 정보 검색과 분양 신청이 가능한 바이오 소재 클러스터별 전문 포털을 연계해 바이오 소재 통합 플랫폼(BioOne)을 구축하고 시범 운영했다.


2024년도에는 전년도 대비 약 10.7% 증가한 총 2025억원(소재 1196억 원, 데이터 829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바이오 연구데이터 활용 기반을 본격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생명연구자원법 개정에 따른 시행령 개정 및 시행규칙 제정을 추진한다.


환경부의 데이터센터도 국가 바이오데이터스테이션(K-BDS)과 연계해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활용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밀의료 산업혁신을 위해 임상·유전체 등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및 데이터뱅크 설립 추진에 착수한다.


바이오 소재와 관련해서는 바이오 소재 통합 플랫폼(BioOne)을 정식 운영하고, 소재 정보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바이오 소재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야생생물 등의 클러스터 전문 포털을 추가 구축한다.


생명연구자원 분야의 지속 가능한 민관 협력 기반 조성을 위해 산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현장 수요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2024년도 시행계획(안)


이 계획은 포스트 코로나 대비 감염병 R&D의 도약을 위해 2021년 10월 수립한 추진전략의 올해 시행계획을 담고 있다.


먼저 지난해 시행계획 이행을 위해 8개 부처·청은 3724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지난해 주요 성과로는 국가 감염병 R&D 성과관리 강화를 위해 감염병기술표준분류체계(안)를 마련하고 NTIS 내 감염병 R&D 현황판을 신설하는 등 감염병 R&D 책임 기반을 강화했다.


주요 감염병 백신의 신속 개발체계를 구축했으며, mRNA 플랫폼과 필수예방접종백신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등 감염병 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 노력했다.


올해에는 시행계획 이행을 위한 R&D에 2667억 원을 투자할 계획인데, 다만 코로나19 관련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감염병 관련 R&D 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이에 우선순위 신·변종 감염병을 중심으로 백신·치료제 100일/200일 R&D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해 감염병연구기관협의체 중심의 위기대응 매뉴얼과 관련 신규사업 기획도 추진한다.


아울러 감염병 임상연구센터,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등 연구 기반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감염병 전임상 데이터 기반의 국가 전임상시험지원체계 운영을 통해 임상 예측 기술 확보를 추한다.


이밖에도 선진 연구기관 및 아시아·아프리카 중심 해외연구거점 구축, WHO 협력센터 등 국제 네트워크 활동 강화 등 국제협력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2024년도 시행계획(안)


이 계획에서는 필수의료, 백신 등 보건안보 관련 연구 지원,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 등과 관련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지난해에는 보건의료기술 R&D에 11개 부처가 2조 1397억 원을 투자한 바, 4000억 원 이상 기술이전 3건을 포함해 모두 9건 3조 383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디지털 치료기기 국내외 인증 획득, 치매치료제 임상 1상·1a/1b상 승인인 등의 성과를 창출했다.


한편 올해는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의 4대 전략 분야별로 혁신·도전형, 글로벌 협력 등 독창성·수월성 중심의 R&D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에 국민 생명·건강 보호 3764억 원, 보건안보 확립 3488억 원,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 1조 1213억원, R&D 혁신 생태계 조성 3631억 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팬데믹과 미정복질환 등 미래 위협이 될 수 있는 국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전·혁신적 연구개발체계를 보건의료 분야에 도입하기 위해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등을 추진한다.


특히 세계 최초·최고를 지향하는 글로벌 공동연구 확대 및 바이오 선도국과의 연구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도 나설 계획이다.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민·관의 여러 주체가 협력해야 하는 바이오 분야에서는 함께 머리를 맞대고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면서 “앞으로도 바이오특위를 통해 정부 차원에서 바이오 R&D 정책을 종합·조정하고 투자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천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경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