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 하절기 수질 안전 대비 하수·정수시설 현장 점검

- 만수공공하수처리시설, 2025년 준공 목표 … 처리용량 10만 5천 톤으로 확대 -
-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754억 투입 2026년 8월 준공 예정 -
- 유 시장, “깨끗한 수돗물 안정적인 공급 위한 관리 체계 더욱 강화할 것”-

▲ 유정복 시장이 28일 하절기 수질안전 대비 시설점검을 위해 만수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현장을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사진=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28일 유정복 시장이 남동구 일대의 주요 하수 및 정수 관련 기반시설을 방문해 하절기 수질안전 확보와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점검은 ▲만수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 민간투자사업 현장과 ▲수산정수사업소 고도정수처리시설 공사현장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유 시장은 관계자로부터 시설 운영계획과 시운전 현황에 대한 설명을 직접 듣고, 현장을 시찰하며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첫 일정으로 유정복 시장은 만수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현장을 찾아 종합시운전 상황과 시공 현황을 점검했다. 해당 사업은 급증하는 도시 하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하루 7만 톤의 처리용량을 10만 5천 톤으로 확대하는 민간투자사업(BTO-a)으로, 2025년 10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특히, 증설되는 시설은 전면 지하화 구조로 조성되며, 상부공간에는 산책로와 녹지공간 등이 조성돼 지역 주민들과의 공간 공유를 확대하고, 시설에 대한 주민 수용성도 높일 계획이다. 또한, 하루 5만 톤 규모의 하천유지용수 재이용시설도 신설되어 도심 생태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유정복 시장은 “하수처리시설은 도시 기반 운영의 핵심 요소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친환경 물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인 현대화 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후, 유 시장은 수산정수사업소를 방문해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공사 추진 상황과 여름철 수돗물 수요 급증에 대비한 ‘하절기 급수대책’ 운영계획을 보고 받고 현장을 점검했다.

수산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사업은 민선 8기 핵심 공약사업으로, 총사업비 754억 원이 투입된다. 현재 공정률은 56.4%로 2026년 8월 준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이 사업은 오존접촉조, 활성탄흡착지, 중간가압장 등을 포함한 최신 고도정수공정이 적용되어 기존 정수처리 방식으로는 제거가 어려운 미량 유해물질과 맛·냄새 유발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인천시는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하절기 급수대책’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며, 정수생산량 탄력 운영, 도서지역 병입수 지원 확대, 수질검사 강화, 기동복구반 24시간 운영 등을 통해 여름철 수질 이상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수돗물은 시민의 기본적 권리이자 삶의 질과 직결되는 자원”이라며 “기후변화 등 다양한 환경 변화 속에서도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관리 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천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경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