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는 6월 9일 청남대 영빈관에서 도내 중소기업 경영개선을 위해 2023년 상반기 중소기업 경영자문상담회를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공동으로 개최했다. 중소기업 경영자문상담회는 올해로 15년째 진행되는 상담회로 그동안 도내 393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경영애로 해소와
김영환 충북지사는 9일 셋째, 넷째 쌍둥이를 출산하여 총 1억원의 출산지원금을 받는 괴산군 문광면의 임완준, 이애란 씨 부부를 방문하여 축하의 뜻을 전하고,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충북을 만들기 위한 의견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경남 남해군은 오는 6월 23일까지 지역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고 안정적 주거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2023년 청년 월세 지원사업 대상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청년 월세 지원사업은 주거비 부담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에게 임차료를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경남 진주시가 신안동에 조성하고 있는 '신안동 복합스포츠타운' 실외체육시설 개장식을 8일 개최했다. 신안동 복합스포츠타운은 부지면적 5만2700㎡에 실외체육시설과 실내체육관으로 조성된다. 이날 행사는 실외체육시설의 개장식으로, 많은 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
여성가족부와 대구광역시 공동으로 경력단절예방을 위한 사회적 인식 확산 및 일·생활 균형 문화조성 및 기업과 사회 전반의 경력단절여성 고용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해 ‘나! 다시 일로 꽃피우다’라는 슬로건으로 ‘2023 경력단절예방·극복 우수사례’ 수기 공모전을 개최한다.
대구광역시는 6월 8일(목) 오전 10시 인터불고엑스코호텔에서 경북대학교 및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과 함께 100여 명의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 UAM R&D 사업 기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최근 정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초기 상용화(20
서울 마포구는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어려움에 처한 독거어르신에게 '마포 징검다리 주택(임시거소)'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마포 징검다리 주택(임시거소)은 마포구의 대표적 주거복지 사업으로 긴급 주거위기가구와 저소득 주거취약가구가 최대 1년까지 임시 거주할 수 있는 주택
강원 태백시는 지난 8일 폐광지역 경기 활성화와 태백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SH에너지솔루션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협약을 통해 태백시는 동태백로 일원에 700억 원을 투입해 10MW급 데이터센터를 건립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 2019년 네이버 제2데
충북 보은군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2024년도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공모에 보은읍 강신1리, 탄부면 하장리 등 모두 2개 마을이 최종 선정돼 국비 21억 원 포함한 총사업비 33억 원을 확보하는 쾌거를 올렸다고 9일 밝혔다. 군에 따르면 2024년도 취
전남 무안군은 지난 8일 무안군청에서 무안군수, ㈜휴먼아이티솔루션 최봉두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신사옥 건립 등을 위한 239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휴먼아이티솔루션은 18년간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정보기술(IT) 전문기업으로 4차산업혁
성남시에서 만 70세 이상 어르신 버스요금 지원을 신청하는 인원이 한 달 만에 4만명 돌파를 눈앞에 둘 정도로 신청 열기가 뜨겁다. 성남시에 따르면 70세 이상 어르신 버스요금 지원사업 신청자가 6월 5일 현재 전체 대상자 93,700명 중 38,213명을 기록하였
대부분 충북지역의 벼 모내기가 끝났지만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는 올해 풍년 농사를 안겨 줄 손 모내기가 한창이다. 농업기술원 답작팀은 알찬미를 비롯한 우수한 품종 개발 및 연구를 위해 약 2백 80여 품종의 벼를 일일이 손 모내기를 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상하수도사업소가 수돗물 인식개선 및 활성화를 위해 지난 7일을 시작으로 오는 12월 1일까지 ‘찾아가는 수돗물 인식개선 교육’에 나섰다. 찾아가는 수돗물 인식개선 교육은 강사들이 학교에 직접 방문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을 통해 학생
창원특례시는 8일 오후 2시 시민홀에서 '환경하면 창원이지!, 환경교육도시 조성 협력 방안'을 주제로 하는 '환경수도 창원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는 2022년 3월 환경교육도시 선언 이후 환경부산하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를 비롯한 대학교, 교육지원청, 기업 등과
부산진구는 2023년 1차 지방세 세무조사에서 18개 법인을 조사해 금년 추징 목표액 10억 원을 훨씬 초과한 17억 원을 추징했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사례로 ㈜○○에 취득세 15억 원을 추징했다. 이 법인은 주택건설사업을 위해 멸실 시킬 목적으로 주택을 취득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