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 발표
정부가 국가전략기술의 최고급인재 확보를 위한 전략을 내놨다. 국가전략기술별로 특화된 연구인력과 여러 전략기술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 연구인력을 구분해 양성하겠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6회 심의회의에서 심의·확정된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높은 전문성과 융합 능력이 요구되는 전략기술의 특성상 최신 전문지식의 습득은 연구개발(R&D) 활동을 통해 가능하며, 한정된 인력·자원 상황에서 최고급인재를 효율적으로 양성·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국가전략기술 분야 인재의 질적 역량 향상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R&D 기반 인재 정책을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에 담았다.
◆ 특화·공통 R&D인재의 효과적인 양성체계 구축
각 전략기술에는 특정기술 전문가뿐 아니라 관련 엔지니어 등 광범위한 과학·공학인재가 필요한데, 기존 범부처 인재정책은 직무·직종에 대한 고려 없이 부처별 소관에 따른 기술 분야에 특정해 분절적으로 인재를 양성해 왔던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과기정통부는 전략기술 분야별 특허출원 데이터와 삼성전자, LG화학, 현대차 등 주요기업 채용공고를 활용한 시범적 직무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전략기술마다 필요 인재가 완전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닌 각 기술군별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연구인력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향후 인재정책에 이러한 특화·공통 R&D인재의 특성을 반영해 한정된 인적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양성·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특화 R&D인재 양성의 거점기관으로 대학 또는 출연연에 혁신연구센터 등 전략기술 특화연구소 설치·운영을 확대해 전략기술 분야 특성화 연구역량 축적 및 석·박사급 연구인력 육성을 강화한다.
공통 R&D인재를 교육하는 특화교육기관 지원체계도 마련해 기술트렌드를 좇지 않고 기반기술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연구비 지원을 검토한다.
국가전략기술 인재로의 유입 자체를 확대하기 위한 학부생 연구프로젝트 및 학·석사 연계 교육 또한 추진한다.
◆ 데이터 활용 통한 인재정책 근거 기반 강화
과기정통부는 R&D인재의 연구수행 과정부터 고용시장 진출까지의 흐름을 파악해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정보 분석체계를 마련한다.
먼저, 전략기술 분야별 연구자의 국가·기관 간 이동성 분석을 통해 분야별 인재 성장흐름 및 유출입을 파악한다.
국내외 전략기술 연구자의 연구동향 비교·분석을 통해서는 기술·인재의 공백 영역을 발굴하고 R&D 기획 및 투자와도 연계한다.
또한 과기정통부의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 등록 연구자 51만 명에 대해 고용부 고용보험DB 정보를 연계함으로써 국가 R&D 과제 참여 인력의 취업 정보를 파악할 계획이다.
전략기술 전분야에 대한 상세 직무분석도 완료해 전략기술 인재의 산업계 현장수요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촘촘한 인력수급전망을 도출해 나간다.
◆ 국제 교류 통한 역량 강화 및 도약 기회 제공
과기정통부는 해외우수연구자·우수연구기관과의 국제 교류를 통한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나 국내 연구기관과 해외우수연구기관 간의 취약한 연결고리를 개선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정부의 해외 연수지원 사업을 분야별·대상별로 체계화한 ‘(가칭)K-starship’ 프로그램 운영을 추진한다.
지원의 공백 영역을 발굴하고 총괄 계획을 수립해 주요 R&D 신규사업화 및 기존사업 확대 등 R&D인재의 글로벌 교류 지원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우수 외국인 인재의 국내 정착을 위해 국내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외국인재가 영주권·국적을 간소화된 절차로 취득할 수 있는 ‘과학·기술 우수인재 영주·귀화 패스트트랙’을 확대 적용을 검토한다.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국가전략기술을 선도할 최고급인재의 확보는 국가의 명운을 좌우할 최우선의 과제”라며 “이번 안건이 앞으로의 인재정책을 더욱 효율화하고 과학화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경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