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주택도시공사가 '천만 서울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투명경영, 열린행정을 실천하기 위해 보유 중인 공공주택 총 13만1,160호의 자산내역을 공개했다.
SH공사는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공사 소유 공공주택 13만1,160호의 자치구별·연도별 취득가액과 장부가액, 공시가격 등 자산내역을 상세하게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SH공사는 2022년 3월 대한민국 공기업 중 최초로 주택, 건물, 토지 등 보유 자산을 전면 공개하겠다고 선언했으며, 1차 장기전세주택 2만8,000여 호, 2차 아파트 10만2,000여 호, 3차 매입임대주택 2만2,000여 호의 자산내역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4차 공개에서는 공사 보유 주택 및 건물 등 총 13만1,160호를 2022년 6월 재산세 기준으로 현행화 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SH공사 자산은 ▲아파트형 임대주택 ▲다가구/다세대 ▲도시형생활주택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이다.
공개 내역에 따르면 SH공사가 보유한 주택 및 건물 등 총 13만1,160호의 취득가액은 약 21조9,625억 원이며, 장부가액은 약 18조4,798억 원, 공시가격은 약 46조 원이다.
자세한 내역은 아래에 공개하는 아파트형 임대주택 자산현황, 장기전세주택 자산현황, 매입임대주택 자산현황과 같다.
세부현황 자료는 SH공사 누리집(홈페이지→정보공개→SH행정정보공개→공사 자산공개)에서 확인 가능하다.
SH공사가 보유한 아파트형 임대주택 총 10만5,536호의 취득가액은 약 16조2,310억 원이며, 장부가액은 약 13조1,592억 원, 공시가격은 약 41조3,012억 원이다.
이 중 준공년도 1989~2005년 기준 내용연수 30년이 도래하는 공공임대 아파트는 34개 단지로 취득가액은 약 2조362억 원, 장부가액은 1조2,419억 원이며 공시가격은 8조1,184억 원이다.
노후임대단지 34개단지중 재건축사업을 추진 중인 하계5단지는 취득가액 146억 원, 장부가액 63억 원, 공시지가 1,608억 원이며, 상계마들은 취득가액 138억 원, 장부가액 94억 원, 공시지가 222억 원이다.
하계5, 상계마들뿐 아니라 30년이 도래하는 노후 아파트 34개 단지(약 4만호)를 재정비하고 용적률 상향, 품질 강화 등을 적용해 공급할 예정이다.
아파트형 임대주택 중 장기전세주택은 총 2만5,797호로, 2022년 12월 임대주택 10만5,536호 중 약 24%에 해당한다.
장기전세주택 2만5,797호의 취득가액(감정평가액)은 약 7조7,739억 원이며, 장부가액은 약 6조4,920억 원, 공시가격은 약 17조4,689억 원이다.
SH공사가 보유한 매입임대주택은 총 2만5,624호이며, 다가구/다세대 1만5,397호, 도시형생활주택 6,745호, 청년신혼부부 매입주택 3,482호로 구성된다.
취득가액은 약 5조7,315억 원, 장부가액은 약 5조3,206억 원이며, 공시가격은 약 4조3,967억 원이다.
이번에 공개한 자산내역의 취득가액 및 장부가액은 2021년도 12월 말 기준 회계결산 금액이며, 공시가격은 2022년도 6월 1일 기준 금액이다.
추정시세의 경우 아파트형 임대주택 및 장기전세주택은 KB시세이며, 매입임대주택은 2022년 국토교통부 발표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 71.5% 기준으로 역산해 산정했다.
공공주택(임대) 자산현황 등은 누리집의 SH주택정보 및 정보공개-SH 행정정보공개-공사 자산 공개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SH공사는 앞으로도 천만 서울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열린경영, 투명행정을 실천하기 위해 올해 안으로 토지자산공개(6월), 주택 및 건물 자산 현행화 공개(12월)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우리 공사의 주인이자 주주인 '천만 서울시민'이 언제든 SH공사의 자산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공사 경영의 투명성,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천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경수 기자 다른기사보기